MMF형은 안정성, RP형은 수익률이 강점인 CMA 계좌, 투자 성향에 따라 선택이 달라집니다.
CMA 계좌는 하루만 맡겨도 이자가 발생하는 대표적인 단기 자산 운용 수단입니다.
하지만 어떤 **연동 상품(MMF vs RP)**을 선택하느냐에 따라 수익률과 성격이 달라집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5년 기준,
국내 주요 증권사의 실제 CMA 상품을 바탕으로
MMF형과 RP형 CMA의 차이점과 수익률을 분석해보겠습니다.
1. MMF형 CMA란?
MMF(Money Market Fund)는
국공채, 기업어음(CP), 양도성예금증서(CD) 등
안정적인 단기 금융상품에 투자하는 펀드입니다.
- 특징: 유동성 높고 위험 낮음
- 이자 지급: 펀드 기준가 상승을 통해 간접 이자 발생
- 주요 증권사 예시
- 한국투자증권 CMA-MMF형: 연 3.5~3.8%
- 미래에셋증권 MMF형: 연 3.4~3.9%
2. RP형 CMA란?
RP(Repurchase Agreement)는
증권사가 국채 등을 매도하고 일정 기간 후 다시 사들이는 조건의
‘환매조건부채권’에 투자하는 구조입니다.
- 특징: 확정 수익률 제시, 유동성 우수
- 이자 지급: 하루 단위 이자 계산, 자동 복리 가능
- 주요 증권사 예시
- 삼성증권 CMA-RP형: 연 3.6~4.0%
- NH투자증권 CMA-RP+MMF 혼합형: 연 3.5% 이상 (분산형)
3. 상품별 비교 분석
항목MMF형 CMARP형 CMA
수익률 | 3.4~3.9% | 3.6~4.0% |
수익 구조 | 기준가 상승 (펀드) | 확정 수익률 (1일 단위) |
유동성 | 높음 (당일 환매 가능) | 매우 높음 (당일 또는 다음날 지급) |
안정성 | 펀드 운용 성격, 변동 가능 | 증권사 신용도에 따라 달라짐 |
적합 대상 | 안정적 수익 추구형 | 고정 수익 우선형, 단기 굴리기 선호 |
4. 어떤 상품을 선택해야 할까?
- 수익률 우선: 삼성 RP형, NH 혼합형이 유리
- 안정성 중심: 한국투자 MMF형, 미래에셋 MMF형
- 단기 유동 자금 활용: RP형 또는 RP+MMF 혼합형이 효율적
- 장점만 가져가고 싶다면: NH투자처럼 두 가지를 분산한 CMA 추천
5. 요약
MMF형은 안정성과 유동성,
RP형은 수익률과 즉시성에서 강점을 보입니다.
두 상품 모두 하루만 맡겨도 이자가 발생하는 구조이지만
내가 원하는 성격이 무엇인지에 따라 선택 전략은 달라집니다.
6. 다음 글 예고
다음 글에서는
CMA 계좌로 단기 자금을 1년간 굴렸을 때 총 수익 비교 시뮬레이션을 다룹니다.
MMF, RP, 혼합형 중 어떤 조합이 가장 수익이 날지 계산해보겠습니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CMA 계좌 개설 방법 및 주요 증권사 비교|삼성·KB·NH·미래에셋 중 어디가 좋을까? (0) | 2025.05.17 |
---|---|
CMA 계좌로 단기 자금을 1년간 굴렸을 때 총 수익 비교 시뮬레이션 (0) | 2025.05.16 |
2025 CMA 계좌로 30일 단기 자금 굴리기|수익 시뮬레이션 공개 (0) | 2025.05.15 |
초보자를 위한 CMA 계좌 제대로 고르기|MMF와 RP 자동 연동 꿀팁 (1) | 2025.05.15 |
단기 채권 투자는 어디서, 어떻게 시작하나요?|초보 투자자를 위한 실전 가이드 (0) | 2025.05.14 |